교육발전 제 00집 0호
The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Volume 00, Number 0, 00- 00, June 2020
https://doi.org/10.34245/jed.00.0.00
에비교사 교육과정 비교 분석*
도종훈**ㆍ김자영***
<목 차> |
|||||
Ⅰ. 서 론 Ⅱ. 본 론 1. 2. 3. |
Ⅲ.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용어 : 학습 태도, 동기, 신념
Ⅰ. 서 론
정부의 교육자치 정책은 시도교육청의 정책연구소 및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 수행하는 연구 과제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2 敎育發展 第 00輯 0號, 2000. 00
━━━━━━━━━━━━━━━━━━━━━━━━━━━━━━━━━━━━━━━━
정부의 교육자치 정책은 시도교육청의 정책연구소 및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 수행하는 연구 과제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시도 연구소와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 수행되는 연구 과제가 정책의 변화 즉 교육 자치에 따라 지역 교육 정책에 반영되고 적극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 역할 변화가 요구된다.
Ⅱ. 본 론
1. 지방교육자치와 시도교육연구원
교육자치제는 교육부로부터 권한 이양된 유ㆍ초ㆍ중등교육을 관할하는 지방교육자치를 강화하며, 단위학교가 교육운영의 권한과 자율성을 보장받고, 학교구성원들이 학교운영과 관련된 일을 자주적으로 결정하고 실행하는 학교자치 강화를 의미한다.
1) 시도교육정책연구소 현황
새 정부의 교육자치 관련 정책으로 최근 시도교육청에서는 교육정책연구소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지방의 교육 분권과 자치에 대한 증대되는 요구에 따라 시도별 차이는 있지만 정책연구소를 자체적으로 설치 운영하고 있다.
(1) 시도교육정책연구소의 연구
지역 교육정책연구소(이후 LOERI)에서 수행되는 연구의 주제와 범위는 주로 지역 교육 현안, 정책 방향, 지역 교육 실태, 교육 정책과 성과, 지역 교육발전계획에 따른 정책 연구, 시도교육청의 요구에 따른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Ⅲ. 결 론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정책 변화에 따른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GFERI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3 敎育發展 第 00輯 0號, 2000. 00
━━━━━━━━━━━━━━━━━━━━━━━━━━━━━━━━━━━━━━━━
참 고 문 헌
성태제(2004). 현대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허강, 이종국, 현영호, 정민택, 강환동, 조성준(2005). 교과서 수시 개정에 따른 외적 체제 개선에 대한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연구보고서.
이경언(2013). 문화 역량 제고를 위한 음악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음악교육연구 42(3), 239- 272.
Wilkinson, D. & Birmingham, P. (2003). Using research instruments: A guide for researcher. New York: Routledge Falmer.
Revell, L. (2007).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s and the education of teachers. Journal of Moral Education 36(1), 79- 92.
4 敎育發展 第 00輯 0號, 2000. 00
━━━━━━━━━━━━━━━━━━━━━━━━━━━━━━━━━━━━━━━━
ABSTRACT
Future Directions of Educational Research by Government- funded and Research Institutes of Local Offices of Education
Jonghoon Do • Jayoung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educational research of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accordance with the new government 's educational reform policy focusing on local education autonomy.
Key Words :
Received May 1, 2020
Revised June 1, 2020
Accepted July 30, 2020